Event Phase에 대한 오해 feat. capturing, bubbling
여러 개인 프로젝트를 사용해오면서 겪어왔던 상황들이 있다.
<div class="parent">
<div class="child">자식</div>
</div>
부모의 이벤트가 자식에게 전달되지 않기를 원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
늘 이러한 문제를 addEventListener
메소드의 3번째 인자로 capture
값 만으로 컨트롤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지만, 늘 실패하고 그냥 stopPropagation()
메소드를 사용해왔었다.
늘 이렇게 대처해오면서, capture : false
인데 왜 자꾸 부모의 이벤트가 자식에게 전달되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그 의문점을 모두 해결하게 되었다.
Event
사용자의 요청으로 발생하고, 우리가 생성하는 이벤트들은 사실상 하나의 객체라고 한다.
elem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클릭 실행')
})
e => {console.log('클릭 실행')}
이라는 함수를 실행시키는 click
타입의 객체인 것이다.
Event Flow
최상위 엘리먼트인 window
를 기준으로 그 내부에 세부적인 엘리먼트들이 생성이 되는데, 이것을 기준으로 이벤트 객체들이 이동하는 경로들이 형성된다. 다만, 여러 테스트를 해본 결과 이러한 경로는 부모엘리먼트와 바로 아래의 직계자식 엘리먼트까지만 영향을 끼치는것 같다. 이때 범위의 최 상단엘리먼트가 e.currentTarget
인듯 하다.
이처럼 경로 범위? 가 정해진다면 특정한 방식을 통해 이벤트가 전달이 된다. 그리고, 이벤트에 해당되는 타겟이라면 이벤트가 실행되는 방식이다.
솔직히 이벤트가 전달된다는 느낌보다는 이벤트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느낌이다.
이벤트 전달 방식을 Event Phase
라고 한다.
- Bubble phase : 하위 엘리먼트에서 상위 엘리먼트로 전달되는 방식
- Capture phase : 상위 엘리먼트에서 하위 엘리먼트로 전달되는 방식
- Target phase : 이벤트가 할당된 엘리먼트에 도달한 경우로, 필요에 따라 이후의 이벤트들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제
child
클래스의 엘리먼트만 클릭할 경우를 따져보려고한다.
<div class="grandParent">
<div class="parent">
React
<div class="child">React is...</div>
</div>
</div>
Bubbling, Capturing에 따른 변화
Bubbling
기본적인 Bubbilng
의 경우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child is clicked')
})
최 하위에서부터 상위 순으로 실행이 된다.
'child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Capturing
이번엔 조금 다르게, 모두 Bubbling
의 방식이지만, parent
엘리먼트에서는 Capturing
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child is clicked')
})
결과값은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원래대로라면 하위의 엘리먼트부터 호출이 되지만, parent
의 경우는 자신과 자신의 자식엘리먼트에서는 상위부터 호출이되도록 하였다.
처음에 이벤트가 실행되는 순서를 의미하는것 같다
라는 생각을 하게된점이 바로 이부분이다.
마치 Queue
처럼 선입선출의 구조를 갖고있는 자료구조에 이벤트 객체들이 담긴다고 생각했을 때,
child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먼저 들어온다.- 하지만, 그 바로 위의
parent
엘리먼트가Capturing
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parent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앞으로 들어온다. - 그 이후로는, 모두
Bubbling
의 방식이기 때문에, 순서대로 뒤에 붙게된다.
let queue = []
// 1
queue = ['child is clicked']
// 2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3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 4
queue =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
만약, grandParent
엘리먼트도 Capturing
의 방식이라면?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child is clicked')
})
child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먼저 들어온다.- 하지만, 그 바로 위의
parent
엘리먼트가Capturing
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parent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앞으로 들어온다. grandParent
또한Capturing
의 방식이기 때문에 자식 엘리먼트 뭉치들 보다 우선순위에 놓여진다.window
는Bubbling
의 방식이기 때문에, 자식 엘리먼트 뭉치보다 뒤에 위치하게 된다.
let queue = []
// 1
queue = ['child is clicked']
// 2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3
queue =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4
queue = [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
결과값을 보아도 이렇게 나온다.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stopPropagation
이러한 Event Phase
에서 필요에 따라 이후의 이벤트는 호출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는데, 특정 엘리먼트의 이벤트가 호출이 되면서 e.stopPropagation()
이라는 메소드를 호출하게 되면, 이후의 이벤트객체들은 더이상 전달되지 않는다.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e.stopPropagation()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child is clicked')
})
child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먼저 들어온다.- 하지만, 그 바로 위의
parent
엘리먼트가Capturing
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parent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앞으로 들어온다. - 그 이후로는, 모두
Bubbling
의 방식이기 때문에, 순서대로 뒤에 붙게된다. - 하지만
parent
에서의 이벤트 객체에서 이후의 이벤트 객체들에대한 전달을 모두 하였기 때문에, 모두 사라지게 된다.
let queue = []
// 1
queue = ['child is clicked']
// 2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3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 4
queue =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grandParent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
// 5. stopPropagation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엘리먼트를 클릭하여도, 이벤트 전달 방식이 상위에서 하위인 Capturing
이기 때문에, child
이벤트 객체는 전달받지 못하게 된다.
'parent is clicked'
grandParent
또한 Capturing
의 방식을 취한다면?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parent.addEventListener(
'click',
e => {
e.stopPropagation()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 capture: true }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child is clicked')
})
child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먼저 들어온다.- 하지만, 그 바로 위의
parent
엘리먼트가Capturing
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parent is clicked
이벤트 객체가 앞으로 들어온다. grandParent
또한Capturing
의 방식이기 때문에 자식 엘리먼트 뭉치들 보다 우선순위에 놓여진다.parent
이벤트 객체 이후의 이벤트 전달을 막았기 때문에, 이보다 우선인grandParent
의 이벤트는 전달 받지만, 그 외에는 모두 전달받지 못한다.
let queue = []
// 1
queue = ['child is clicked']
// 2
queue =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3
queue =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 4
queue = [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child is clicked',
'window is clicked',
]
// 5. stopPropagation
queue =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결과값을 보아도 이렇게 나온다.
'grandParent is clicked'
'parent is clicked'
단순히 stopPropagation 만으로 해결가능해왔던 이유
아마, Capturing
, Bubbling
의 흐름에 대해 정확히 알고있지 않더라도 해당 메소드를 통해 이벤트전달을 간단히 막을수 있었던 이유는, 기본적으로 Bubbling
방식이여서, child
이벤트 객체가 가장 먼저 전달을 받는데다가, 그 이후의 전달을 무시하는 상황이 대부분 원하는 상황이였기 때문이 아니였나 싶다.
const grandParent = document.querySelector('.grandParent')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document.querySelector('.child')
window.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window is clicked')
})
grand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grandParent is clicked')
})
parent.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parent is clicked')
})
child.addEventListener('click', e => {
e.stopPropagation()
console.log('child is clicked')
})
정리
Capture
속성의 값만을 통해서 이벤트 전달을 막는것이 아니라stopPropagation
메소드를 사용해서 막아야 한다.- 전달 받는 이벤트 객체를 조금 더 디테일하고 섬세하게 관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것이
Capture
속성인듯 하다.